상단영역

본문영역

[우리 말]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어처구니 등

[우리 말]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어처구니 등

  • 기자명 박영한 논설위원
  • 입력 2023.07.12 15:41
  • 1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정일보]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 10가지를 알아 본다.

1. < 어처구니 >

첫째~

궁궐의 전각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기왓지붕 위에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들의 모양을 한 토우(土偶: 흙으로 만든 인형)들이 있는데 이를

'어처구니'라고 합니다.

'어처구니 없다.'라는 말의 유래는 궁궐 또는 성문을 짓는

와장(瓦匠)들이 지붕의 마무리 일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버리는 경우 '어처구니없다'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둘째~

어처구니는 맷돌의 손잡이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

그 무거운 돌 두 짝을 포개어 놓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야 하는데 손잡이가 없으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겠네요.

2. < 시치미 >

전혀 모르는 일인 양 딴 청을 피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시치미는 사냥에 쓰려고 길들인 매의 꽁지 깃털에 매달아 놓은 마름 모양의 뼈 조각을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

시치미에는 주인의 이름도 적혀 있었고 길들인 사냥매는

'해동청'이라고 하는 유명한 중국 수출품이어서 꽤 고가였습니다.

길들인 매라고 하지만 꽁지에 매달린 시치미만 똑 떼어버리면 야생 매는 물론 남의 물건과도 구별할 길이 없습니다.

3. < 꼽사리 >

청하지도 않은 사람이 슬며시 끼어들어올 때 '꼽사리끼지 말라'고 합니다.

역마살 도화살 공방살하는 소리가 있습니다.

한 가지 살만 껴도 세상 살기가 어려운데 살이 곱으로 끼는겁니다. 즉 '곱살이' 끼는 겁니다.

그래서 원치 않는 사람이 끼어들면 곱살이 끼지 말라고 합니다.

4. < 팽개치다 >

시끄러운 소리가 나도록 확 집어 던지는 걸 팽개친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대나무나 싸리 가지 끝을 여러 갈래로 쪼개서 흙을 채워 넣고는 새들이 있는 쪽으로 힘껏 내동댕이칩니다.

후두둑하는 소리에 새들이 쫓겨가도록~.

대나무나 싸리가지로 만든 그 도구의 이름이 바로 '팡개'입니다. '

팡개치는' 겁니다.

5. < 뜬금없다 >

조선시대 말단 벼슬 중에 '말감고'라는 벼슬이 있었습니다.

말감고가 하는 일은 그날 그날 장에 나온 물건의 수요와 공급을 조사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 사람이 기준가격을 공지해야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즉 말감고가 그날 그날의 금(가격)을 띄워야(공지) 거래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그 기준이 되는 가격을 '뜬(띄운) 금(가격)'이라고 합니다.

'뜬금없다'라는 말은 띄운 금이 없는 곧 시세가 없는 황당한 경우를 이르는 말하며 지금은 갑작스럽거나 엉뚱한 경우를 뜻합니다.

6. <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

옛날 시골 흙 벽돌 집에 가면 창문을 달 수도 없고 하니

문틀 없이 그냥 종이로 창문을 흉내 내서 종이만 발라 놓은 것이 있습니다.

열 수도 없으니 당연히 그걸 '봉창'이라 합니다.

어느 촌사람이 방안에서 자고 있다가 밖에서 누가 부르니 잠결에 문인지 창인지 구분 못하고 봉창을 문인 줄 알고 열려고 더듬거리다가 내는 소리가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입니다.

7. < 터무니없다 >

터무니없다는 말은 '터의 무늬가 없다.'는 말에서 유래했고'터무니 없다'

줄임 말이 '턱없다'입니다.

터의 무늬(자리)가 없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터무니는 터+무늬에서 유래한 것이고 터는 본래 집이나 건축물을 세운 자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집을 허물면 주춧돌 자리나 기둥을 세웠던 자리들이 흔적으로 남아 있게 되는데

흔적(무늬)조차 없는 경우에는 그 자리에 집이 있었는지 알 길이 없게 됩니다.

터의 무늬(자리)가 없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8. < 조바심 >

옛날 4대 곡식으로 쌀 보리 밀과 더불어 조가 있었습니다.

타작을 옛말로 "바심’이라고 했는데 ‘조’ 타작이 조바심의 유래가 된 것입니다.

조를 수확할 때 이삭을 잘라다가 한꺼번에 두드려서 텁니다.

그런데 조는 두껍고 질긴 껍질에 겹겹이 쌓여 있어서 타작을 하려면 조 이삭을 모아놓고 아예 부술 정도로 두드려야 탈곡이 되므로 옛 농부들은 ‘조’ 탈곡을 가장 힘들어 했습니다.

그러니까 농부들에게는 ‘조바심’이 가장 큰 걱정거리였던 것입니다.

9. < 산통깨다 >

'일을 그르치게 하다'라는 뜻으로 길이 10cm 가량의 향목이나 금속 혹은 대나무를 에어 괘(卦)를 새긴 것을 산 가지 또는 산대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산대를 넣은 통을 산통이라고 합니다. 점을 칠 때 산통을 대여섯 번 흔든 다음 산통을 거꾸로 들면 그 구멍으로 산 가지가 나옵니다.

이 산 가지의 괘로 점을 치는 것을 산통점이라고 합니다.

이때 산 가지를 집어넣는 산통을 깨버린다는 것이므로 어떤 일을 이루지 못하게 뒤틀어 버린다는 뜻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10. < 벽창호 >

앞뒤가 꽉 막힌 고집불통을 우리말로는 '벽창호'라고 하는데~

이 말은 원래 '벽창우(碧昌牛)'에서 나온 말입니다.

평안북도 벽동(碧潼)과 창성(昌城)지방의 소(牛)가 크고 억세다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게다가 이 지방의 소들은 제 기분에 맞지 않으면 꿈쩍도 하지 않는 고집불통이었으며, 모르는 사람이 와서 끌고 가려고 하면 고집스럽게 버텨서 웬만한 어른들도 다루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힘이 세고 고집이 센 벽동과 창성의 소들의 특성을 빗대어 '벽창우'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이 말이 벽동과 창성의 소같이 '고집이 세고 무뚝뚝한 사람'을 가리킬 때도 쓰이게 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