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서울역사박물관, 1934년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 소장유물자료집으로 발간

서울역사박물관, 1934년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 소장유물자료집으로 발간

  • 기자명 손수영
  • 입력 2017.08.14 13:2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 서울역사박물관

1934년 일제 강점기 시절 서울에 사는 인구 10명 중 3명은 일본인 등 외국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역사박물관은 1936년 이전의 유일한 서울 인구통계 자료인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를 소장유물자료집으로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역사박물관이 발간한 소장유물자료집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에 따르면 1934년 당시 경성의 일본인 비율은 10만9682명(28%)에 이르렀다. 전국평균 2.7%의 10배가 넘었다. 

당시 경성인구 중 조선인은 27만9007명(70.7%)을 기록했다. 중국인이 중심인 제3국가 서울인구는 5836명(14.7%)이었다. 

서울에서 지역별로 보면 을지로(당시 황금정)를 중심으로 일명 북촌에는 조선인이, 남촌에는 일본인이 많이 살았다. 1914년 경성의 북쪽 동들은 ‘동(洞)’이라는 조선식 동명을, 남쪽은 주로 ‘통(通)’이나 ‘정(町)’이라는 일본식 동명을 갖게 됐다. 조선총독부 청사는 을지로 남쪽인 남산 왜성대에, 경성부청은 남대문에 자리잡았다. 경성이 ‘북촌’의 조선인구와 ‘남촌’의 일본인구로 나뉜 이중도시가 된 이유다. 다만 남촌이라고 해도 일본인이 조선인보다 많은 '정'은 없었다. 

1910년대 감소하던 중국인은 1920년대 후반이 되면 남대문로 2·3가 서쪽으로 중국인거리를 이뤘다. 서소문정(1164명), 태평동2정목(642명), 장곡천정(621명), 북미창정(201명)의 외국인은 대다수가 중국인이었다. 

직업별로 보면 서울의 조선인들은 상업·교통업(31%)에 주로 종사했다. 기타 유업자(22.8%), 공업과 공무·자유업이 각각 12.9%, 12.5%로 뒤를 이었다. 일본인은 공무·자유업(39.4%), 상업·교통업(34.6%) 비중이 높다. 외국인은 상업(61%)이 가장 많았다.

이같은 직업분포는 전국 통계와 양상이 달랐다. 당시 전국 조선인의 직업은 농·임·목축업이 75.1%로 압도적이었다. 외국인도 전국적으로도 상업(45.9%)이 많았지만 서울 외국인이 훨씬더 상업 비중이 컸다.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는 서울책방(02-739-7033), 서울역사박물관 뮤지업숍(02-724-0274)에서 구할 수 있다.

송인호 서울역사박물관장은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는 식민지 수도 경성부의 도시 성격과 구성원들의 모습을 읽어 내는 매우 중요한 자료"라며 "과학적 분석을 통해 1934년 서울의 장소, 역사, 기억에 대한 학문과 이야기가 보다 깊어지고 풍성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정일보 손수영 기자 hmk0697@naver.com

본기사의 무단전재를 금함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