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설날에 대하여?...설날의 어원과 유래

설날에 대하여?...설날의 어원과 유래

  • 기자명 황문권 기자
  • 입력 2013.01.19 14:4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정일보 황문권기자] 올해도설날을 맞이 한다. 국립민속발물관에서 전하는 우리의 설날에 대하여 알아보자.(http://www.nfm.go.kr)

날짜- 음력 1월 1일(양력2013년2월10일)
풍속 - 떡국끓여먹기, 설성묘, 새해인사, 널뛰기(跳板戱), 연날리기(鳶-), 설차례
시절음식 - 떡국, 시루떡, 식혜, 조랭이떡국, 도소주(屠蘇酒)
다른이름 - 구정(舊正), 원일(元日), 원정(元正), 원신(元辰), 원조(元朝), 민속의날(民俗-), 원단(元旦), 삼원(三元), 세시, 연두(年頭), 연수(年首), 정조(正朝), 연시(年始), 세수(歲首)

관련속담 - 남의 떡에 설 쇤다, 보리누름까지 세배한다, 설날에 옴 오르듯, 설 쇤 무, 설에도 부모를 모르다니, 설은 질어야 풍년이고 보름은 맑아야 풍년이다, 설을 거꾸로 쇘다, 정월 초하룻날 먹어보면 이월 초하룻날 또 먹으려 한다, 처가집 세배는 앵두꽃을 꺾어 가지고 간다, 윷놀이하는소리

설날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본래 설날은 조상 숭배와 효(孝)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먼저 간 조상신과 자손이 함께 하는 아주 신성한 시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대부분이 도시 생활과 산업 사회라는 굴레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에 와서 설날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니는데, 곧 도시 생활과 산업 사회에서 오는 긴장감과 강박감에서 일시적으로나마 해방될 수 있는 즐거운 시기라는 의미도 함께 지니게 된 것이다.

설날은 세속의 시간에서 성스러운 시간으로 옮겨가는 교체기라고 할 수 있다. 즉 평소의 이기적인 세속 생활을 떠나서 조상과 함께 하며 정신적인 유대감을 굳힐 수 있는 성스러운 시간이 바로 설날인 것이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을 떠나서 국가 전체적으로 보더라도 설날은 아주 의미 있는 날이다. 국민 대부분이 고향을 찾아 떠나고, 같은 날 아침 차례를 올리고, 또 새옷을 즐겨 입는다. 여기에서 우리는 같은 한국사람이라는, 같은 한민족이라는 일체감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볼 때도 설날이 가지는 의미, 즉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한다는 점에서는 단순한 명절 이상의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설날의 어원에 대하여.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 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개 세 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우선, 설날을 '낯설다'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설날은 '새해에 대한 낯설음'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설 날은 묵은해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해에 통합되어 가는 전이 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날은 "선날" 즉 개시(開始)라는 뜻의 "선다"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 "선날"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連音化)되어 설날로 와전되 었다는 것이다.

또한 설날을 "삼가다[謹愼]" 또는"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일이란 '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란 뜻인데,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 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 원단(元旦)·정조(正朝)·세수(歲首), 세초(歲初)·세시(歲時)·연두(年 頭)·연시(年始) 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 설날의유래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중국의 역사서 『수서(隋書)』와 『구당서(舊唐書)』에는 신라인들이 원일의 아침에 서로 하례하며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이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한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설 명절이 역법체계에 따른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전부터 설이 존재했으리라는 추정은 가능하다. 가령 3세기에 나온 중국의 사서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의 제천의례에 대한 기록에서 설의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은정월(殷正月), 5월과 10월의 농공시필기(農功始畢期) 등과 같은 표현은 당시 역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말한다. 은정월은 은나라의 역법을 지칭하는데 이는 오늘날로 치면 음력 섣달을 말한다. 이는 복잡한 역법상의 기준 차이일 뿐, 연초라는 관념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이처럼 역법을 통해 각 달을 가늠했으며 한 해의 시작으로 세수(歲首)인 설이 존재했으리라 본다.

우리나라의 설에 대한 최초의 구체적인 기록은 7세기에 나온 중국의 역사서에 나타난다. 『수서』와 『구당서』의 신라 관련 기록에는 왕권 국가로서의 설날의 면모가 잘 나타난다. 즉 “매년 정월 원단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인다. 이날 일월신을 배례한다.”는 기록은 국가 형태의 설날 관습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다.

『고려사(高麗史)』에도 설날[元正]은 상원(上元)·상사(上巳)·한식(寒食)·단오(端午)·추석(秋夕)·중구(重九)·팔관(八關)·동지(冬至)와 함께 9대 속절(俗節)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식·단오·추석과 더불어 4대 명절의 하나였다. 『수서』와 『북사(北史)』 「고구려전(高句麗傳)」에는 해마다 정초에 패수(浿水)에서 물과 돌을 서로 끼얹고 던지고 소리 지르며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편싸움, 특히 석전(石戰)의 원류로 추정될 수 있다.

정월은 삼국 모두 각별한 달로 여겼으며 신라와 가야에서는 시조묘에 제사를 지내고 신라에서는 정월에 죄수를 사면하기도 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사금갑조(射琴匣條)에는 정월 대보름의 세시풍속과 십이지일(十二支日)의 금기 유래를 파악해 볼 수 있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박혁거세의 즉위일이 정월 대보름이라고 했고 김알지는 계림 나뭇가지의 황금궤에서 탄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박혁거세는 박씨골매기이고 김알지는 김씨골매기라고 추정하기도 하는데 어떻든 이들은 모두 공동체의 시조신이며 창건신, 수호신이다. 오늘날 대보름을 전후하여 많이 지내는 골맥이 동제는 의례이자 세시풍속이기도 한데 그 동제의 원류를 여기서 찾기도 한다.

『고려사』에는 원정을 비롯하여 9대 속절이 소개되어 있지만 그밖에 고려 속요(俗謠) ‘동동(動動)’을 비롯하여 개인 문집에도 세시명절과 풍속에 대한 다양한 기록들이 있다.
고려에 들어서도 왕은 정월에 국가 세시의례인 천지신과 조상신 제사를 지냈다. 정월 초하루 원정을 전후하여 관리들에게 7일간의 휴가를 주었고 신하들은 왕에게 신년을 축하하는 예를 올렸으며 왕은 신하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고려사』에는 정월 초하루에 정조 축하의식을 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동문선(東文選)』·『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양촌집(陽村集)』·『가정선생문집(稼亭先生文集)』·『도은선생문집(陶隱先生文集)』 등 문집에 기록된 시(詩)에는 정월 초하루에 집집마다 다니면서 나누는 새해 인사, 연하장 보내기, 악귀를 쫓기 위해 부적을 문에 붙이기, 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 등의 세화 보내기 등의 여러 가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삼국시대에도 이미 설의 세시풍속이 상당히 있었지만 고려에 와서는 더욱 다양해졌으며 이는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졌다. 실상 오늘날 논의되는 설을 비롯한 각 달의 의 세시풍속은 고려 때 정착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는 4대 명절이라 했지만 그렇다고 다른 명절이 약화된 것은 아니다. 민간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세시명절이 전승되고 세시풍속이 행해졌다. 조선시대에는 서울의 세시풍속을 수록한 『경도잡지(京都雜志)』·『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를 비롯하여 조선 전 지역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통해서도 그 다양함을 짐작할 수 있다. 『동국세시기』에 수록된 세시풍속이 모두 당시에 전승된 것은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