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종편집:2024-04-19 18:07 (금)

본문영역

유시민 실명 청원, “실명거론 반칙 vs 시너지 효과” 갑론을박

유시민 실명 청원, “실명거론 반칙 vs 시너지 효과” 갑론을박

  • 기자명 박찬정 기자
  • 입력 2017.12.13 15:22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티즌 '유 전 장관, 산 채로 잡아들여 죽을 때 까지 퇴직을 윤허하지 말아야 한다’ 청원 쇄도

사진=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사진=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12일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에 초등학교 빈 교실을 공공보육시설로 활용하자는 청원을 내 여론이 뜨겁다.

유 전 장관은 이날 "초등교실을 활용한 공공보육시설 확충"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저는 직업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다. 최근에는 부업 삼아 방송 일도 조금 한다"며 자신을 소개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말하며 "(저출산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젊은 부모들이 마음 놓고 필요한 시간만큼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취학 전 영유아를 가진 젊은 부모들은 공공보육시설 확충을 간절하게 바란다. 학생 수 감소에 따라 생기는 초등학교의 여유 공간 일부를, 다시 말해서 지금 특활공간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교실의 일부를 공공보육시설로 활용할 것을 청원한다"고 전했다.

이어 "초등학교는 다른 어떤 시설보다 환경이 쾌적하다. 출입구와 동선을 잘 조정하기만 하면 초등학생들 교육에 특별한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국가의 시설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자랑은 아니지만 저는 대통령도 알고 국무총리도 안다.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참모들도 많이 안다. 그러나 그보다는 공개 청원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여러 부처가 합의하고 협력해야 하는 일은 한 부처 혼자 할 수 있는 일에 비해 진척이 더디기 마련이어서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한다"며 공개 청원을 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해당 청원은 13일 현재 4만여명이 동의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이 상황에서 누리꾼들의 ‘유 전 장관 청원지지’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누리꾼들은 "세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좋은 방안이라 생각합니다. 아침 등교 및 등원에도 시간 절약이 가능하고, 하교 및 하원 역시 한 학교로 간다면 시간에 덜 쫓기게 될 것 같네요. 맞벌이 부부들에게 다자녀는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시간적, 경제적 문제들이 너무나 버겁습니다", "이러한 복지 제도 등을 잘 활용하면 출산율을 높이는 신의 한 수가 될 수도 있겠네요. 적극 동의합니다" ,“이런 검증된 사람이 초야에 묻혀서 낭비되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 산 채로 잡아들여서 죽을 때 까지 퇴직을 윤허하지 말아야 한다”며 유 전 장관의 의견에 강하게 동의했다.

반면 소수의 목소리가 감춰져 청원이 본래 취지를 잊고 정치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몇몇 누리꾼들은 “유시민 유명세로 작은 소리가 더 묻히네요”, “유시민씨처럼 이름 걸고 청원 못하는 사람은 서럽다”,“유시민 이름을 드러낸 청원은 반칙입니다”등의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한 누리꾼은 “우리 같은 서민들은 유명인에게 밀려 무슨 글을 올리겠냐. 유시민씨를 청와대로 옮기라는 댓글이 많은데 사람들 마음대로 뽑는 것인지 의문이다. 청원의 본래 취지를 상실해 가는 것 같다”고 발언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남는 교실을 활용한 방안은 이미 일각에서 실시하고 있다”며 “정작 억울하고 고통스러워 청원하는 사람의 목소리는 더 작아지고 있다. 본인도 유명세를 감추고 논리와 획기적인 방안으로 승부해야 진정 모두가 인정해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익명이 원칙은 아니다. 나라에 도움이 된다면 실명공개 여부는 중요치 않다”며 유 전 장관의 행보를 지지하는 누리꾼들의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있다.

한 시민은 “반칙이란 표현은 지나친 비약이다”며 “실명을 공개하고 말고는 작성자의 자유”라고 주장했다. 유 전 장관의 청원은 그의 명성보다 내용이 좋았기에 동의가 많았던 것이라는 이유다.

이밖에도 “유시민이 무슨 특혜를 받으려고 실명을 공개했겠느냐” “우리 국민들이 유명인 이라고 해서 무조건 동의하는 수준은 아니다”는 여러 주장이 나왔다.

한편 유 전 장관은 지난 2013년 2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너무 늦어버리기 전에, 내가 원하는 삶을 찾고 싶어서 ‘직업으로서의 정치’를 떠난다”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서울시정일보 박찬정기자 ckswjd206@naver.com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