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종편집:2024-03-28 20:01 (목)

본문영역

[경상남도] ‘용무늬 금동허리띠’, 가야유물 최초 도 유형문화재 지정

[경상남도] ‘용무늬 금동허리띠’, 가야유물 최초 도 유형문화재 지정

  • 기자명 박순도 기자
  • 입력 2021.03.17 23:4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 출토, 금관가야 국제성 증명하는 유물로서 가치 인정

가야유물, 역사적 가치 재평가 통해 국가·도문화재 지정 잇달아

일곱 개 등잔 붙은 아라가야 굽다리등잔 도문화재 지정 예고

[서울시정일보 박순도기자]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김해 대성동 88호분 출토 금동허리띠를 가야유물로는 처음으로 도 유형문화재(668)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금동허리띠는 중국 후한대(後漢代)2세기 말부터 진대(晉代)4세기 무렵까지 중국에서 제작되어 동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했던 장신구로서, 금관가야의 왕묘역이자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인 김해 대성동 고분군(사적 제341)88호분에서 출토되었다.

 

대성동 88호분은 4세기에 조성된 대형 덧널무덤으로서 규모, 부장품 등으로 보아 금관가야 왕 또는 왕족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88호분에서 출토된 금동허리띠는 주인공 주변에서 흩어진 채 발견되어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부장된 것으로 보인다.

 

고대 허리띠는 가죽이나 천으로 된 띠에 금속의 장식판과 드리개 등을 붙여 만들었는데, 88호분에서는 금동으로 만든 끝장식판 1점과 드리개 3점이 출토되었다. 끝장식판(길이 8)에는 투조기법*과 다양한 조금기법**을 통해 용()의 전신과 또 다른 용의 머리가 마주보도록 해 쌍용(雙龍)을 역동적으로 표현하였다.

*투조(透彫)기법 : 판을 도안대로 오려내는 기법

*조금(彫金)기법 : 금속에 정을 사용하여 문양을 새기는 기법. 축조(蹴彫), 모조(毛彫), 점선조(點線彫)

 

금동허리띠는 고대 한반도 남부에서 용무늬가 베풀어진 가장 이른 시기의 유물로서, 금관가야 지배층의 권력을 상징하는 위세품(威勢品)이자 중국과의 교섭을 통해 입수한 선진 물품이어서 가야의 위상과 국제성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또 우수한 기술로 제작한 금속공예품인데다 출토지가 분명한 발굴유물로서 역사적 맥락을 잘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동안 매장문화재(유적) 발굴유물에 대한 문화재 지정 사례는 손에 꼽힐 정도였다. 가야시대 유물은 기록이 존재하지 않아 그만큼 지정가치를 증명하기가 쉽지 않았으며 보존상태 또한 불량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최근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및 정비를 계기로 중요 가야유물에 대한 역사적 가치 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경남의 김해, 함안, 합천 등에서 발굴된 가야유물 8건이 최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바 있다.

 

이에 발맞춰 경남도도 중요 가야유물의 문화재 지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번 김해 대성동 88호분 출토 금동허리띠의 도 유형문화재 지정 외에도 함안 말이산 고분군(사적 제515)에서 출토된 아라가야 굽다리등잔을 지정 예고하였다.

 

노영식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그동안 보물급 가야유물조차 문화재 지정의 기회를 잘 얻지 못했다. 이는 가야사에 대한 인식과 위상으로 연결되어 가야문화가 저평가되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면서,

 

이번 금동허리띠의 도문화재 지정을 계기로 더 많은 가야유물에 대한 재평가와 문화재 지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관가야 장식마구 일품, 통형동기 등 중요 가야유물에 대한 국가·도문화재 지정 검토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다 최근의 학술발굴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가 나오고 있어 가야유물의 문화재 지정은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