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기자수첩 6] 4.15 부정선거 의혹 증폭...서울대 고대생들이 일어섰다. 하늘이 무너져도 정의를 세워라!

[기자수첩 6] 4.15 부정선거 의혹 증폭...서울대 고대생들이 일어섰다. 하늘이 무너져도 정의를 세워라!

  • 기자명 황문권 기자
  • 입력 2020.05.13 17:17
  • 수정 2020.05.13 22:08
  • 1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표가 시작되자 이승만과 이기붕의 득표가 95%∼99%까지 조작되어 나온 지역이 속출
-내무부장관이었던 최인규는 발포 명령을 내린 책임자로 사형에

서울대학교 포스터

[서울시정일보 황문권 기자] 하늘이 무너져도 정의를 세워라!
온몸으로 난타하라 정의의 종을!(서울대학교 포스터)

민주역적 몰아내자! 자유 정의 진리를 드높이자!(고려대학교 포스터)

서울대의 트루스포럼은 지난달 4월 30일 “4.15 부정선거 의혹, 철저하게 조사하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게시했었다. 서울대는 뒤를 이어 5월13일 오후 12시부터 아크로 피켓시위를 했다.
국민의 검증권을 보장하라!
이어서 고려대학교에서는 동일 13일 오후5시부터 고대 중앙광장 인촌동상 앞에서 시위를 했다.

지난 11일 미래통합당 민경욱 의원은 4·15 총선 사전투표용 투표지를 무더기로 입수했다며 여러 가지 부정 개표의 증거를 제시했다.

특히 민 의원은 증거자료 가운데 증거 제보인의 내부 고발자의 녹취록에서 개표기에 DNS송수신기가 부착되어 선관위의 중앙서버와 네트워크가 연결이 되어서 마음만 먹으면 지금의 통계학상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미국 미시건대학 Walter Mebane (월터 미베인)교수의 논문에서 21대 4.15총선 부정 의혹이 통계학상 부정 의혹의 수치 즉 조작에 대한 통계적 부정 수치가 확실해졌다 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의 박영아 교수(전 국회의원. 물리학자)는 동전 1천 개를 던져서 모두가 앞면 혹은 뒷면만 나오는 통계 수치라고 말한다.

특히 미국 백악관 국민청원에는 십만 명이 넘어 국제적 망신을 당하고 있으며 수많은 외신들의 보도가 봇물 터지듯이 잇따라 게재되고 있다.

특히 11일에만 미국 전국지 USA투데이지를 비로해 방송 신문 라디오등 113곳에서 보도 되었다.

2020년 4.15 부정선거 의혹은 1960년 3.15 부정선거에 이어서 만60년만에 발생하는 현대판 4.15부정선거 의혹에서 수많은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 자유 대한민국은 전 세계 1위 IT강국이다. 전자 시스템과 컴퓨터의 조작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의혹들이 전개되는 현 상황에서 서울대의 외침인 "검증권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려대학교 포스터
고려대학교 포스터

 

역사에서 배우자. 다음의 내용은 다음백과사전의 내용이다.

1960년 3월 15일 자유당정권에 의하여 대대적인 선거부정행위가 자행되었던 제4대 대통령선거와 제5대 부통령선거에서
3월 15일의 투표는 야당측이 거의 방관한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민주당은 그날 오후 ‘3·15선거는 선거가 아니라 선거의 이름 아래 이루어진 국민주권에 대한 강도행위’라고 규정한 뒤 선거무효선언을 하였다.

개표가 시작되자 이승만과 이기붕의 득표가 95%∼99%까지 조작되어 나온 지역이 속출하였고, 이런 터무니없는 집계에 놀란 자유당은 최인규에게 득표수를 하향 조정하라고 지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집계는 총투표자 1,000여만 명 중 이승만 960여만 명으로 88.7% 득표, 이기붕 830여만 명으로 79%를 득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투표와 개표상의 공공연한 부정행위에 대한 전국민의 저항은 3월 15일 저녁마산에서의 부정선거규탄 시위로부터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결국은 4·19혁명으로 이어졌다.

4·19혁명 이후 부정선거관련자들은 재판에 회부되었으며, 이 재판은 5·16군사정변 이후 군사정권으로 이관되었다. 재판 결과, 3·15부정선거 당시의 내무부장관이었던 최인규는 발포 명령을 내린 책임자로 사형에 처해졌고, 다른 관련자들도 실형을 받았으나 그 뒤 감형·특사 등으로 거의 풀려났다.

4.19 혁명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 4·19혁명은 1960년 4월 19일에 학생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으로, 3·15부정 선거를 계기로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탄압에 항의하여 일어났으며, 이승만대통령이 사임하고 허정의 과도정부가 수립되었다. 1973년 3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4·19의거 기념일’로 제정되었고, 1994년 12월 ‘4·19혁명 기념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