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서울행정] 서울시, 걸어서 10분내 도심텃밭 1800개 조성

[서울행정] 서울시, 걸어서 10분내 도심텃밭 1800개 조성

  • 기자명 황천보
  • 입력 2015.04.08 15:4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① 생활 속 10분내 도심텃밭 1,800개 ‧ 상자텃밭 13만세트 제공, 공간 확보



[서울시정일보 황천보기자] 서울시가 집에서 걸어서 10분 이내 거리에 ‘도심 텃밭’이 조성된다고 밝혔다. 또 낙엽과 음식물 생쓰레기 등 버려지는 자원이 이 텃밭의 퇴비로 활용된다. 특히 서울 곳곳에는 도시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며, 일자리로 이어 질 수 있는 다양한 농업교육과 시민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도시농부 체험도 연중 계속된다. 미래 2018년 서울의 모습이다.

 

<서울시, 서울도시농업 2단계 도약「서울시 도시농업 2.0 마스터 플랜」발표>

 

시는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 속 도시농업’을 비전으로 서울도시농업의 2단계 도약을 위한「도시농업 2.0 마스터플랜」을 8일(수) 발표했다.

이번 마스터플랜은 지난 1년간 연구용역, 시민간담회 및 각계각층의견을 수렴한 결과로 ’18년까지 총 51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이미 뉴욕, 벤쿠버, 도쿄 등 세계 주요도시는 환경문제와 도심생태계 회복을 위해 도시농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도시농업이야말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6차 미래산업이자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수 요건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시는 지난 ’12년 ‘도시농업 원년’ 선포 후 도시농업 수도 서울을 알리는데 주력해 왔으며, 이제는 한걸음 더 나아가 ‘나와 가족을 위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이웃과 마을을 위한 소통과 공동체 회복’, ‘도시와 농촌을 위한 도농상생’을 핵심으로 두 번째 도약을 시작한다고 덧붙였다.

 

<①생활 속 10분내 도심텃밭 1,800개 ‧ 상자텃밭 13만세트 제공, 도시농업공간확보>

 

우선 2018년까지 생활 속 10분 내 찾을 수 있는 ‘도심텃밭’ 1,800개소를 조성한다. 이와함께 상자(주머니)텃밭 13만 세트도 시민들에게 제공해 언제 어디서나 도시농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올해 상반기 중 서울시내 유휴지와 폐부지 실태조사를 실시해 ’18년까지 420㏊의 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확보된 도심틈새공간‧근린공원‧공공시설옥상 등 생활주변공간에 ▴틈새텃밭(875개소) ▴공공시설 옥상텃밭(160개소) ▴싱싱텃밭(560개소) ▴학교농장(150개소) ▴공원커뮤니티가든(75개소)을 조성해 시민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사회공동체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 특히 종합복지회관, 노인·장애인자활시설 및 정신보건시설 등 사회복지시설에 설치되는 ‘싱싱텃밭’은 도심텃밭 기능은 물론 원예치료효과도 병행해 도시농업 순기능 모델로 발전시킨다.

 

<② 옥상 농원 등 미래형 도시농업모델 도입, 연간 700명 도시농업 일자리창출>

 

둘째, 옥상농원·수직농장 등 미래형도시농업 모델을 시범적으로 도입하고 도시농업을 활용한 일자리도 연간 700명 수준으로 창출한다.

먼저 ’18년까지 아파트·공공시설 등에 고부가가치 옥상농원 35개소, 수직농장 2개소를 조성하고, 시민들의 도시농업체험장 역할을 할 ‘도시농업존’도 ’18년까지 은평구 혁신파크 내에 꾸민다.

 

도시농업전문가교육도 집중적으로 실시해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해 낸다. 이렇게 창출되는 일자리는 ▴공영주말농장·도심텃밭관리자(300명) ▴도시농산물 장터운영(200명) ▴학교농장관리자(100명) ▴도시농업 산업육성(100명) 등 연간 총 700명이다.

 

<③ 음식물생쓰레기 텃밭 퇴비화 ‧ 자원순환형 도시텃밭 조성, 도시재생 ‧ 자원순환>

셋째, 가정에서 나오는 조리전 음식물생쓰레기의 5%를 도시농업 퇴비로 활용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시는 현재 추진 중인 ‘음식물생쓰레기 퇴비화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올해 1일 20톤에서 ’18년에는 1일 110톤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1주말농장-1공동주택’사업(45개소)을 비롯해 도매시장 등 서울시내 10곳에 생쓰레기 퇴비처리시설 설치한다. 또 퇴비제조기· 지렁이상자 등 퇴비화교육자재도 시민들에게 공급, 대중화를 앞당긴다.

 

또 이와 함께 낙엽·음식물쓰레기와 태양광·지열 등 버려지는 도시자원을 재활용한 ‘자원순환형 도시텃밭(2개소)’과 옥상 자투리텃밭 등에 빗물이용시설(120개소)을 설치해 생태계 순환구조를 재현, 생태체험장 및 녹색생활실천교육장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④ 도시농업박람회 세계화, 시민누구나 도시농업 체험가능한 프로그램 확대>

 

넷째, ’18년까지 ‘도시농업박람회’를 세계적인 행사로 업그레이드 한다.

특히 기존 시민참여축제 기능에 ‘생태환경관’, ‘토종씨앗관’, ‘자원순환관’ 등 전문화된 부스를 추가해 실제 도시농업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한다.

 

1일 농업체험프로그램 ‘그린투어’는 연15회(600~700명 참가), 도시농업확산을 위한 도시농부학교는 연 60회(8,000명 참가)로 확대 실시하고, 광화문광장‧북서울 꿈의 숲 등에서 열리는 도시농부시장도 현재 14개소에 30개소(’18년)로 확대한다.

도농상생 일손돕기캠핑 (’18년까지 3,125명), 경기·충청권 등 방문 도시가족 주말농장체험(’18년까지 10,200명)도 확대실시 예정이다.

 

서동록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도시농업은 자연이 순환하고 생태계가 복원되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가족과 이웃이 함께 텃밭을 가꾸는 공동체 도시, 생명의 도시 서울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