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치매관리 시스템 10년 단위의 획기적인 전환’ 제안

치매관리 시스템 10년 단위의 획기적인 전환’ 제안

  • 기자명 황문권 기자
  • 입력 2011.06.22 15:1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 80,900명에서 2020년에는 120,580명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제리 의원(용산1, 한나라당)은 6월 21일 시정 질문에서 급속한 노령사회 진입에 따른 서울시 노인복지 정책 중 현행 획일적인 치매관리 시스템을 ‘10년 단위의 획기적인 치매관리 시스템으로 전환’ 할 것을 제안하였다.
65세 이상 치매 유병율 추이 및 전망에 대한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환자는 49만 5천명, 2030년에는 100만 명, 2050년에는 2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2005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치매환자의 사회경제적 비용분석을 통해 치매로 인한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이 추계방법에 따라 연간 3조 4천억 원에서 7조 3천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어, 현재의 유병률 추이라면 다음 세대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추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도 치매노인 증가 추이를 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80,900명에서 2020년에는 120,580명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이에 따른 치매예산은 2008년 97억 2천만원에서 2009년 127억 원으로 증가하고 있어 중앙정부(2011년 16억 원(별도의 치료관리비 제외))에 비해서는 월등한 치매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김제리 의원은 중앙정부나 서울시의 치매 대책에서 간과되고 있는 젊은 치매환자에 대해 지적하였다. 최근 노인 치매 환자 못지않게 젊은 치매 환자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그 논의나 대책이 부족하며, 일례로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의 치매 전환율을 보면 인지장애가 진행되는 1년 안에 15~20%, 6년이 지나면 80%가 치매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젊은 치매 환자를 포함한 조기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김의원은 현행 60세 이상 국민부터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 시 치매 선별검사 항목이 추가되고 있으나 이 보다 한발 더 나아가 65세 이상 치매노인 유병률 추이를 10년 앞당겨 55세부터 추계하고 이에 따라 ‘55~64세(young-old), 65~79세(middle-old), 80세 이상(old-old)로 구분하여 young-old 세대는 예방관리에 집중하고, middle-old 세대는 치료관리에 주력하며, old-old 세대는 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하는 10년 단위의 치매관리 정책’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젊은 치매 환자를 포함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수립이 시급히 필요함을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