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종편집:2024-04-19 12:40 (금)

본문영역

남극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달 운석 발견... ‘DEW 12007'*

남극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달 운석 발견... ‘DEW 12007'*

  • 기자명 황문권 기자
  • 입력 2013.11.14 11:5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달과 지구 사이에는?

달 운석 발견 당시의 현장 사진
[서울시정일보 황문권기자] 현재까지 국제운석학회에는 약 46,000여개의 운석이 등록되어 있는데, 달 운석은 약 160여개에 불과하며 이중 화성의 운석은 125개다.

우리나라에서 달 운석의 최초 발견은 극지연구소가 2006년부터 남극에서 운석을 회수하여 연구를 시작한지 7년만의 성과이다.

극지연구소는 6차례에 걸친 남극 운석 탐사를 통하여 현재 180여개의 남극 운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러시아, 미국, 일본, 중국 등과 함께 운석을 연구하고 있는 세계 5대 연구 기관중 하나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소장 김예동) ‘남극운석탐사대(대장 이종익 책임연구원)’가 2013년 1월 3일 남극대륙 장보고기지 건설지에 남쪽으로 350km 지점에 위치한 마운트 드윗(Mt. Dewitt)의 청빙지대에서 발견한 운석이 최근의 분석결과 ‘달 운석(lunar meteorite)으로 밝혀졌다.

‘DEW 12007'로 명명된 이 운석은 총 중량 94.2g (7×3x3cm)으로 한국과 이태리 공동탐사 중 우리측이 발견하였고, 양측 양해각서에 의해 현재 절반은 이태리가 소유하고 있다.

발견 당시 운석 표면에서 흔히 보이는 용융각이 거의 없고, 지구 암석과 유사하여 운석인지 여부의 판별조차 쉽지 않았으나, 2013년 10월 극지연구소에 도착하여 박편을 통한 현미경 관찰, 전자현미분석(EPMA) 등을 통해 ‘달 운석’임이 확인되었다.

이 운석은 달의 바다(the mare)라고 하는 낮은 지역을 구성하는 현무암과 고지대(high land)를 구성하는 사장암이 여러 암편으로 뒤섞인 ‘각력암(breccia)'으로 달 표면의 구성성분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시료이다.

달 운석의 확보를 통해 우리나라도 달의 구성 성분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고, 정부가 추진 중인 달 탐사 프로젝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극지연구소는 국내외 연구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운석의 생성 과정을 밝히는 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지속적인 남극 운석 확보를 위하여 11월 17일부터 3개월간 장보고과학기지가 건설될 빅토리아랜드에 운석탐사대를 파견한다.
1994년 발사된 무인우주선‘클레멘타인’영상을 합성한 달 앞면(왼쪽)과 뒷면(오른쪽) 사진. 인류가 직접 볼 수 없는 달 뒷면에는 저지대에 해당하는 바다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을 달의‘이방성’이라 하고 암석 성분도 앞면과 뒷면이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저작권자 © 서울시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